본문 바로가기
투자 책

[리뷰] 2030 축의 전환 ㅣ마우로 기옌ㅣ 2030년엔 세상은 어떤 모습으로 변해있을 것인가?

by 관장 2021. 4. 16.
반응형
2030 축의 전환 _ 마우로 기옌

 

 

축의 전환

 

 

최근 주식투자를 비롯한 각종 투자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 관련 서적들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래서 YES24에서 베스트셀러를 확인해보니 '2030 축의 전환'이라는 책이 있었습니다. 근처 도서관을 찾아보니 이 책을 구할 수 있었고, 만족스럽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Yes24 경제,경영 부문 베스트셀러 5위

 

 

 

 

 

책 시작부에 담긴 '여러 사실과 통계' 부분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다음 산업혁명이 예상되는 곳 :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
이유 : 멕시코의 국토 면적에 달하는 약 5억 에이커의 비옥한 토지가 아직 농경지로 개발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2000년, 전 세계의 부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 15%
2030년. 전 세계의 부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 55%

.
.
.
.

현재 최대 규모의 중산층 소비 시장 : 미국과 서유럽
2030년, 최대 규모의 중산층 소비 시장 : 중국
2030년, 신흥 경제국의 중산층 진입 인구 : 10억 명
현재 미국의 중산층 인구 : 2억 2300만 명
2030년, 미국의 중산층 인구 : 2억 900만 명

- 2030 축의 전환-

 


시장의 변화

 

변화하는 미래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저는 시장의 규모가 변화하는 부분에 집중했습니다. 당장은 미국과 서유럽이 거대한 시장으로 기능하지만, 10년이 지났을 때는 중국이 중산층 소비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으로 자리할 수 있다는 사실이 크게 와 닿았습니다.

 

 

앞으로 인구구조 변화

 

 

그리고 이민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미국은 출산율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인구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까닭이 이민자들이 많이 때문이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민자는 단순히 소비 시장의 객원 역할만 하지 않고 적극적인 생산자로서도 기능했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를 포함해 구글, 인텔, 이베이, 페이스북의 창업자 혹은 공동 창업자들이 이민자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민자들 덕에 미국 경제에는 꾸준히 혁신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훗날 한국에서도 적극적인 이민 정책을 통해 인구를 유입시키고, 내수 시장을 확대시키며 경제 혁신을 일으킬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는 대목이었습니다.

 

 

 

 


 

In Africa

 

아프리카에서 크게 두 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나는 '베이비 붐'이고, 다른 하나는 '실리콘 사바나'입니다. 사하라 이남에서는 현재 13억 정도인 인구가 2038년엔 20억, 2061년엔 30억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점점 늘어가는 인구 때문에 아프리카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눈여겨봐야 할 대륙이 되었습니다. 인구가 증가한다고 해서 반드시 아프리카에 좋은 일은 아닙니다. 아프리카는 종교 갈등이 심하기 때문에 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실리콘 사바나에 대한 부분인데, 실리콘 밸리의 실리콘과, 사바나 사막의 사바나를 따왔습니다. 케냐의 나이로비가 실리콘 사바나로 불립니다. 케냐는 이미 10년 전에 모바일 결제를 실시하며 이를 선도하는 국가로 위상을 알렸습니다. 현재는 휴대전화를 통해 의료 지원 사업까지 확장이 됐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2030년의 모습이 궁금하다면 케냐의 나이로비로 떠나보라고 조언한다고 합니다. 휴대폰을 통한 통계가 국가적 차원의 설문보다 정확도가 높을 만큼 통신도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실리콘 사바나

 


 

앞으로 10년

 

 

 

 

2010년에는 스마트폰이 대중들에게 조금씩 보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이 시점에는 사물인터넷(IOT)이라며 집안 곳곳의 모든 사물이 연결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을 떠나 스마트카라고 불리는 전기차도 등장하고, 차량용 플랫폼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으로는 카카오가 작은 기업에서 지금은 시총 10위 안에 드는 거대 규모의 회사로 자리 잡고 플랫폼 사업으로 사업 곳곳에 손을 뻗었습니다.

 

 

 

 

2030년은 지금부터 10년이 더 지난 시점입니다. 기술의 발전은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되기 때문에 지난 10년보다 앞으로 10년간 발전이 더 급박할 것입니다. 인구구조도 변하고, 세계 인구에서 인종 비율도 변할 것이며, 노년층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더 커질 겁니다. 사람과 기술이 모두 변하는 만큼 이에 적응하고 대처할 때 성공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여러분들의 적응을 돕는 근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